South Korea’s pilot sickness benefit program, launched in 2022 across six regions and currently operating in 14 regions as of 2025, represents a critical juncture in the country’s social protection development. While ostensibly designed with inclusive eligibility criteria, the program reveals fundamental paradoxes that illuminate deeper structural inequalities within Korea's dualized labor market. This opinion piece examines how current design choices risk undermin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goals by systematically excluding the most precarious workers. The program’s design features—including low replacement rates (60% of the minimum wage) and extended waiting periods—created perverse incentives where the most vulnerable workers accepted the least favorable conditions. This pattern exemplifies what Korpi and Palme termed the “paradox of redistribution,” where targeted approaches ultimately prove less effective than universal ones, with the second phase’s restriction to the bottom 50% income bracket threatening to exacerbate this paradox. Successful implementation will depend on integrating equity, people-centered design, and gender-transformative perspectives into every phase—design, operation, evaluation, and reform. In doing so, South Korea has the opportunity to offer a model of sickness protection that does not simply patch gaps, but actively reshapes the structures that produce health and economic inequalities in the first place.
모두를 위한 상병수당의 과제 2022년 6개 지역에서 시작되어 2025년 현재 14개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형 상병수당 시범사업은 한국 사회보장의 제도적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시범사업은 기존 제도와 비교해 보다 포용적인 자격 기준으로 설계되었지만, 한국의 이중화된 노동시장과 결합한 구조적 불평등을 드러내는 근본적 역설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의 제도적 설계가 한국의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체계적으로 배제하며, 이것이 보편적 건강보장 목표 달성에 장벽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분석한다. 1차 시범사업 신청 현황 분석 결과, 낮은 소득대체율(최저임금의 60%)과 긴 대기기간을 포함한 프로그램의 설계 특징들은 가장 취약한 노동자들이 가장 불리한 조건을 받아들이는 역설적 유인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패턴은 재분배의 역설을 반영하며, 2단계에서 소득 하위 50%로 대상을 제한한 것은 이러한 역설을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병수당 제도의 성공적인 실행은 설계, 운영, 평가, 개혁의 모든 단계에서 형평성, 사람 중심 설계, 젠더 변혁적 관점을 통합하는 데 달려 있다. 이를 통해 건강과 경제적 불평등을 생산하는 구조를 재편하는 제도로서 상병수당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