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Page Path
-
HOME
> Search
Original Article
-
Association between sudden work recall and psychological health issue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Dong-Woo Kim, June-Hee Lee, In-Ho Lee, Kyung-Jae Lee
-
Ann Occup Environ Med 2025;37:e33. Published online September 8, 2025
-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5.37.e33
-
-
Abstract
Abstract in Korean
PDF
- Background
The impact of global integration has led to an increase in non-standard work patterns, threatening workers' health.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such as anxiety and fatigue, negatively affect workers' health and safety. Sudden work recall, a situation where workers are asked to return to work under unpredictable circumstances, is associated with uncertainty.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dden work recall and anxiety and fatigue is limited, a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among Korean workers.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o analyze the pure effects of sudden work recall, the final sample was limited to 15,702 non-shift workers with a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presence of sudden work recall was categorized into three frequency groups: “several times a month,” “rarely,” and “never.” Anxiety and fatigue were each categorized into "yes" or "no" respons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 odds ratio (OR) for anxiety in the 'several times a month' group was 4.066 (95% confidence interval [CI]: 2.787–5.931), indicating a significantly higher risk. Conversely, the OR for the 'rarely' group was 1.363 (95% CI: 0.921–2.017),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for fatigue: the 'several times a month'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R: 1.875; 95% CI: 1.490–2.359), but the 'rarely' group (OR: 0.955; 95% CI: 0.750–1.215) did not.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sudden work recall and psychological health may not be a simple linear one. The results suggest that only a high frequency of sudden work recall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nxiety and fatig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and to conduct additional research in this area.
- 돌발적 업무 복귀 요청과 심리적 건강 문제의 연관성 : 제 6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한 단면 분석
목적
세계화로 인한 비정형적 근무 형태의 증가는 노동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안과 피로와 같은 심리적 건강 문제는 삶의 질과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갑자기 업무에 복귀하라는 요청을 받는 ‘돌발적 업무 복귀 요청’이 한국 노동자의 불안 및 피로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조사하고자 합니다.
방법
본 연구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했으며, 돌발적 업무 복귀 요청의 순수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교대 근무자와 주관적 건강 상태가 ‘보통’ 이하인 근로자를 제외한 총 15,702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돌발적 업무 복귀 요청의 빈도에 따라 ‘없음’, ‘드물게’, ‘한 달에 여러 번’으로 범주를 나누었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돌발적 업무 복귀 요청과와 불안 및 피로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습니다.
결과
인구통계학적 및 직업적 특성을 보정한 후, ‘한 달에 여러 번’ 돌발적 업무 복귀를 경험한 그룹은 불안(OR: 4.066, 95% CI: 2.787–5.931)과 피로(OR: 1.875, 95% CI: 1.490–2.359)의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반면, ‘드물게’ 경험한 그룹은 불안(OR: 1.363, 95% CI: 0.921–2.017)과 피로(OR: 0.955, 95% CI: 0.750–1.215)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결론
돌발적 업무 복귀 요구와 불안 및 피로의 관계는 단순히 선형적이지 않으며, 높은 빈도로 경험할 때만 유의미한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돌발적인 업무 복귀 요청이 신체적 및 정신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충분히 발전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돌발적 업무 복귀와 관련된 근로자 건강 보호 및 예측 가능한 근무 환경 조성 분야에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고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