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Page Path
-
HOME
> Search
Original Article
-
Health effects of weekend work on Korean workers: based on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Ji-Hyeon Lee, Jin-Young Min, Seok-Yoon Son, Seung-Woo Ryoo, Kyoung-Bok Min
-
Ann Occup Environ Med 2025;37:e31. Published online September 3, 2025
-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5.37.e31
-
-
Abstract
Abstract in Korean
PDF
Supplementary Material
- Background
Although weekend work makes up a significant part of work patterns in modern society, research on the health effects of weekend work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nonstandard wo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weekend work on the health of Korean workers, aiming to provide evidenc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ies that promote workers’ health.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argeting 35,957 Korean workers who met the research criteria.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information was collected on weekend work status and health outcomes, including general health, musculoskeletal pain, headaches or eye pain, fatigue, sleep disorders, depression, anxiety,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eekend work and health outcome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ith additional stratified analyses conducte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Results
Among the final study population, 11,255 workers, accounting for 30.5% of the total, were weekend worker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ekend work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dds ratio [OR]: 1.0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18), anxiety (OR: 1.35; 95% CI: 1.16–1.58), musculoskeletal pain (OR: 1.45; 95% CI: 1.34–1.58), fatigue (OR: 1.49; 95% CI: 1.36–1.62), absenteeism (OR: 1.70; 95% CI: 1.43–2.03), and presenteeism (OR: 1.82; 95% CI: 1.62–2.04). The health effects of weekend work differed between the self-employed and employee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tratified analysis.
Conclusions
Weekend work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Korean workers, and the effect varie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ere is a need to design a comprehensive occupational health polic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employment statuses.
- 한국인 근로자에서 주말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제6차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목적
주말근무는 서비스업 중심의 현대 노동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근무 형태이다. 한국에서도 상당수의 근로자들이 주말근무에 종사하고 있지만, 주말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다른 비표준 근무에 대한 연구에 비해 드물다. 본 연구는 주말근무가 한국인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근로자 건강 증진을 위한 복지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인 근로자 36,38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주말 근무 여부와 주관적 건강상태, 근골격계 통증, 두통 및 눈의 피로, 전신 피로, 수면 장애, 우울, 불안, 결근 및 프리젠티즘 등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주말근무와 건강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및 직업적 특성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종사상 지위에 따른 층화 분석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결과
최종 선정된 연구 대상자 중 주말근무자는 11,383명(30.46%)이었다. 사회인구학적 및 직업적 특성을 보정한 결과, 주말 근무는 우울(OR 1.09, 95% CI 1.01–1.18), 불안(OR 1.39, 95% CI 1.18–1.63), 근골격계 통증(OR 1.46, 95% CI 1.35–1.58), 피로(OR 1.48, 95% CI 1.36–1.61), 결근(OR 1.72, 95% CI 1.45–2.05), 프리젠티즘(OR 1.84, 95% CI 1.64–2.06)과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다. 층화 분석 결과, 주말 근무의 건강영향은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 간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주말근무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 간에 유의한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주말근무는 한국 노동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문제 위험을 증가시키며, 그 영향은 종사상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종사상 지위의 특성과 위험 요인을 반영한 종합적인 산업보건 정책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TOP